반응형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805
2805번: 나무 자르기
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000, 1 ≤ M ≤ 2,000,000,000)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.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
www.acmicpc.net
💡IDEA
이분 탐색을 사용하는 문제이다.
이분 탐색이란 가장 작은 값과 가장 큰 값을 기준으로 가운데 값을 찾아 타겟값을 비교하여 좌우 변수를 조정하며 탐색하는 방법이다.
이 문제에서는 가운데 값보다 큰 높이의 나무를 잘라낸 합으로 비교하며 좌우 변수를 좁힌다.
절단기에 설정할 수 있는 최대 높이를 구하기 위해 구한 합과 타겟값을 비교하며 가장 큰 높이를 찾는다.
📌CODE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height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l, r = 0, max(heights)
ans = 0
while l <= r:
m = (l+r)//2
res = sum(h-m if m<h else 0 for h in heights)
if res >= M:
ans = max(ans, m)
l = m+1
else:
r = m-1
print(ans)
반응형
'Algorithm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OJ][python] 1946. 신입 사원 (0) | 2022.07.26 |
---|---|
[BOJ][python] 9020. 골드바흐의 추측 (0) | 2022.07.26 |
[BOJ][python] 6588. 골드바흐의 추측 (0) | 2022.07.21 |
[BOJ][python] 2293. 동전 1 (0) | 2022.07.21 |
[BOJ][python] 1759. 암호 만들기 (0) | 2022.07.21 |